본문 바로가기

자격증 정보

2025년 달라지는 직업상담사2급 자격증 시험

 

2025년에는 직업상담사 시험 출제 범위에 많은 변화가 있습니다.

 

실무에 적용되는 내용들이 많이 추가되었습니다.

자격증 취득을 목표로 하고 계시는 분들께 도움이 되길 바랍니다.

"

 

 2024년 출제 과목은 아래와 같습니다.

     1. 직업상담학

     2. 직업심리학

     3. 직업정보론

     4. 노동시장론

     5. 노동관계법규

 

2025년 출제 과목은 아래와 같습니다.

     1. 직업심리학

     2. 직업 상담 및 취업 지원

     3. 직업정보

     4. 노동시장론

     5. 노동관계법규

2024년도와 비교 했을때 직업상담학이 빠지고 직업상담 및 취업 지원이 추가되었습니다.

과목으로 보았을때는 1과목만 변경이 된듯 하는데요. 

과목을 대분류로 본다면 소분류의 단원과목에서도 변화가 있습니다.

이러한 변화는 직업 상담 및 고용 지원에 따른 실무에 더 중점을 두는 변화 같습니다.

 

2025년도 시험과목을 세분류까지 살펴보겠습니다.

1. 직업심리 

           1) 진로발달 이론 :

                      특성-요인 이론 제개념, 직업적응이론 제개념,발당적이론, 욕구이론

            2) 직업상담 진단 : 

                      직업심리검사, 진단, 진단결과 해석

            3) 직업과 스트레스 :

                       스트레스의 의미, 스트레스의 원인, 스트레스의 결과 및 예방

            4) 직업상담 초기면담

                        초기면담의 의미, 침밀감형성, 호소논점 파악, 구조화, 전략수립, 초기면담 종결

 

2. 직업상담 및 취업지원  

             1) 직업상담의 이론

                         기초상담 이론의 종류

              2) 직업상담 접근방법

                          특성-요인 직업 상담, 내담자 중심 상담, 발달적 직업 상담, 포괄적 직업 상담

              3) 진로상담

                          진로논점, 직업정보 탐색, 진로설계지원, 실행지원

              4) 취업상담

                          구직역량 파악, 취업목표 설정, 구인처 확보, 구직활동 지원, 내담자 사후관리

              5) 직업복귀상담

                           직업목귀 동기 파악, 직업복귀 목표 설정, 직업복귀 지원, 활동계획 평가 및 사후관리

              6) 직업훈련 상담

                           내담자 직무역량 파악, 직업정보 수집, 훈련과정 선택지원, 훈련목표관리

              7) 집단상담프로그램 운영

                          집단상담프로그램 개발, 집단상담 프로그램 실시, 집단상담 프로그램 평가 및 사후관리

              8) 직업상담 협업 및 행정

                           협업체계 구축 및 운영, 직업상담 행정, 

              9) 취업지원행사운영

                            행사운영

 

3. 직업정보  

             1) 직업 및 산업 분류의 활용

                          직업분류의 이해, 산업분류의 이해

              2) 직업정보 수집

                           직업정보 수집 계획, 직업정보 수집 실행 및 점검, 고용정보시스템

              3) 직업정보 제공

                            직업정보 제공, 직업정보 평가 및 환류

4. 노동시장  

             1) 노동시장의 이해

                           노동의 수요, 노동의 공급, 노동시장의 균형

              2) 임금의 제개념

                            임금의 의의와 결정이론, 임금체계, 임금형태, 임금격차

              3) 실업의 제개념

                            실업의 이론과 형태, 실업의 원인과 대책

5. 직업상담 및 취업지원  

             1) 노동기본권

                          노동기본권의 이해

              2) 근로기준법

                          근로기준법시행령

              3) 최저임금법

                           최저임금법 시행령

              4) 직업안정법

                           직업안정법시행령

              5) 고용보험법

                           고용보험법시행령

              6) 근로자직업능력개발법

                            근로자직업능력개발법 시행령

              7) 남녀고용평등법

                            남녀고용평등법 시행령

              8) 구직자 취업촉진 및 생활안정지원에 관한 법률(약칭: 구직자취업촉진법)

                            구직자 취업촉진 및 생활안정지원에 관한 법률(약칭: 구직자취업촉진법 )시행령

              9) 채용절차의 공정화에 관한 법률

                             채용절차의 공정화에 관한 법률

             10) 개인정보보호법

                             개인정보보호법

              

다음에는 세세항목의 글들을 써 보겠습니다.

조금 이라도 유익한 블로그가 되도록 노력하겠습니다.